반응형
    
    
    
  이전 글에서,
캔 메세지의 ID를 통해 각 ID 별로 해당 메세지의 이름은 뭔지, 무슨 데이터를 담고 있는지 정의한다고 했다.
이번에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해보자.
보낼때
(physival value - offset) / factor받을때
(raw data x factor) + offset
예를 들어 unsinged 8 bit 시그널
factor 0.1 offset -12 라면
보내는 측에서 보내려는 physical value가
10 이라면
(10 - (-10) ) /  factor = 200
이므로  시그널에 200이라는 값을 담아서 보냄
받는 측은 200이라는 값을 전달받은 후
200x 0.1 +(-10) = 10
이므로 센더가 보내려는 physical value를 10이라고 해석한다.
온라인 교육플랫폼 '인프런에서
신입사원이 알아야 할 CAN 통신의 모든 것
강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이용하시면 20% 할인쿠폰을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CAN 통신 - 자동차 신입이 알아야 할 모든 것| 존버매니아 - 인프런 강의
현재 평점 4.9점 수강생 1,609명인 강의를 만나보세요. CAN통신에 대한 '학술적인' 강의가 아니라 '같이 일하게 될' 신입사원에게 알려준다는 생각으로 일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얘기들을 담
www.inflearn.com
반응형
    
    
    
  '자동차 임베디드 SW > CAN통신 & LIN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AN 통신 커넥터(작성중) (1) | 2022.06.28 | 
|---|---|
| CAN 통신 BaudRate과 Bus Load (3) | 2022.06.18 | 
| CAN 통신에 대하여(2). 메세지의 ID (4) | 2022.06.15 | 
| J1939 에 대하여 (CAN 진단통신) (0) | 2022.06.02 | 
| CAN , CAN FD 종단저항 이슈 (4) | 2022.05.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