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1

배치파일 자동 종료 방지 배치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면 자기 할 일이 끝나고나면 자동종료되서 커맨드 창이 닫힌다. 그래서 echo 로 출력된 문장을 못보는 경우가 생긴다. 그때는 배치파일 끝에 pause 를 넣어주자 2023. 2. 22.
UDS 진단통신 TP에 대하여(작성중) ISO 15765-2 - Wikipedia위키 설명이 젤 나은듯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uresofttech&logNo=222850407600&proxyReferer=참고 설명TP는 트랜스포트 레이어 프로토콜 약자UDS 통신(ISO-14229)에서 정의하는 서비스들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의 총 길이가 8바이트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Standard CAN 을 쓸 경우 메세지 하나의 최대 길이가 8Byte이다.그런데 만약 UDS에서 보내려는 메세지 포맷의 길이가 10byte라면 어떻게 해야할까?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TP 이다.(Transport Layer Protocol)이때 UDS 통신에서 사용하는 tp 프로토콜이 I.. 2023. 2. 22.
git ignore 관련 특정 폴더 하위에 포함된 파일 중 특정 확장자 파일 제외하려면 (예를 들어 .txt파일 제외) 폴더명/**/*.txt 2023. 2. 10.
Flash write,erase시 유의사항!!! T32의 기능 중에 Var.watch 또는 Memory dump 기능이 있는데 이 기능들은 모두 mcu의 현재 메모리값을 유저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부트로더 등을 사용하여 MCU의 Flash를 write하거나 erase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만약 T32를 연결해놓은 상태라면 위 기능들로 인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flash 명령을 수행하는 메모리 영역과 var.watch 또는 dump 기능에서 접근하는 메모리영역이 겹치면 이로 인해 모종의 문제가 발생하여 flash write , erase 도중 런타임 에러가 발생하여 mcu reset이 일어나거나 mcu의 동작이 이상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T32 연결 상태에서 sw가 flash write, read,erase 등을 할 때는 du.. 2023. 2. 9.
t32 dump file로 저장하기 유의사항 덤프 하려는 플래시 영역이 erased 상태라 읽을 수 없는 상태라면 dump 할 때 버스에러 난다. 바이너리로 덤프data.save.binary 파일명 d:0xa0080000--0xa00a0000Hex파일로 덤프(출력결과는 시작주소 0번지부터 시작)data.save.IntelHex filename.hex D:0xAf000000--0xAF07FFF hex 파일로 저장하면서, 메모리주소도 그대로 뽑고 싶은 경우 TYPE4 옵션을 붙이면 주소영역도 똑같이해서 dump가능. 옵션 없이하면 dump 된 hex 파일의 start address는 0번지가 된다.data.save.IntelHex filename.hex D:0xAf000000--0xAF07FFF /TYPE4 아래와 같이 시작주소 + Lengt.. 2023. 2. 8.
오토사 OS 에러 E_OS_Limit 오토사 Os의 basic Task는 동시에 허용가능한 최대 Activation Number를 갖는다. 태스크를 이 제한 값보다 여러번 activate 했을때 E_Os_Limit 에러가 발생한다. 2023. 2. 4.
오토사 Fee , Ea 개념 정리 오토사 모듈 중 NVM 모듈이 있다. NVM은 Non Volatile Memory의 약자로 전원 Off 되도 지워지지 않는 메모리를 의미한다. 컴퓨터로 치면 하드디스크, SSD 같은 저장공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Mcu에서는 이러한 저장공간으로 일반적으로 2가지가 사용되는데 하나는 Flash memory. 또 하나는 EEPRom 이다. EEPRom은 일반적으로 mcu에 내장된게 아니라 별도의 소자(IC) 형태로 제공되고, 내 개발경험상 이런 eeprom 은 모두 SPI통신을 통하여 제어하는 방식이었다. 그래서 우리가 사용하는 Mcu랑 eeprom을 연결해서 spi 로 명령을 날려서 데이터를 저장.읽기 를 한다. 근데, eeprom의 경우 erase 명령과 write 명령으로 읽고 쓸 수 있는 메모리 사.. 2023. 1. 31.
Aurix Flash 기본지식 flash erase의 최소단위는 sector flash write의 최소단위는 page sector와 page 크기는 hardware 적으로 사전에 정해져있다. 유저매뉴얼을 보고 확인하면된다. (보통 sector가 page보다 훨씬 크다) Aurix에는 Pflash , Dflash 라는 2가지 타입의 flash가 존재함 각각 Program flash , Data Flash 의 약자이다. Pflash와 Dflash는 섹터와 페이지 크기가 서로 다르다. Pflash page : 32byte Dflash page : 8 byte Pflash sector : 16Kbyte Dflash sector : flash에 write를 하기전에는 항상 erase를 해놓은 상태여야한다. (덮어쓰기가 안됨) 덮어쓰기 시도 .. 2023. 1. 19.
floating point routine 앞에 __f 면 float function 앞에 __d면 double function ftod - float to double dtof - double to float fgt - double variable precision compare STARCORE_ABI_RM.PDF 참조 2023. 1. 9.